
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| 통계청은 지난 2017년부터 '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'를 실시하고 있다.
통계청이 2023년 외국인 2만 명과 귀화허가자 5천 명을 대상으로 공통항목(기본항목, 고용, 구직경험, 교육, 소득과 소비, 한국어능력, 체류사항) · 특성항목(비전문취업(E-9) · 유학생(D-2, D-4-1, D-4-7))에 대해 집계한 현황 중 외국인과 귀화허가자의 평균 소득 추이를 살펴본다.
2023년 5월 기준 외국인은 총1,430,000명 , 귀화허가자는 총51,000명이었다.
(※21년 5월기준 외국인 1,332,000명 , 귀화허가자 49,000명)
지난 1년 동안 '외국인' 월평균 총소득은 200~300만 원 미만 469,000명(32.8%), 300만 원 이상 348,000명(24.4%) 으로 집계됐다.
▷ '외국인 '지난 1년동안 월평균 총소득 ◁
전체 (천명) |
없음 | 100만원 미만 | 1~200만원 미만 | 2~300만원 미만 | ||
300만원 이상 | ||||||
21년 5월 | 1,332 | 345 (25.9%) | 80 (6.0%) | 248 (18.6%) | 456 (34.2%) | 202 (15.2%) |
23년 5월 | 1,430 | 426 (29.8%) | 56 (3.9%) | 132 (9.2%) | 469 (32.8%) | 349 (24.4%) |
'소득이 없었다'는 외국인은 426,000명 (29.8%)로 '21년 5월' 344,988명 (25.9%) 대비 81,152명 (3.9%p) 상승했고 300만원 이상 수입은 전기 대비 9.2%p 상승하고, 100~200만 원 미만은 9.4%p 하락했다.
▷ '귀화허가자' 지난 1년동안 월평균 총소득 ◁
전체 (천명) |
없음 | 100만원 미만 | 1~200만원 미만 | 2~300만원 미만 | ||
300만원 이상 | ||||||
21년 5월 | 49 | 15 (31.6%) | 5 (9.3%) | 13 (25.9%) | 10 (20.4%) | 6 (13.0%) |
23년 5월 | 51 | 15 (29.9%) | 4 (7.1%) | 9 (17.1%) | 14 (27.3%) | 10 (18.7%) |
지난 1년 동안 '귀화허가자' 월평균 총소득은 200~300만 원 미만 13,923명 (27.3%), 300만 원 이상 9,537명 (18.7%) 이었다.
소득이 없었다는 '귀화허가자'는 15,249명 (29.9%)로 '21년 5월' 15,484명 (31.6%) 대비 235명 (1.7%p) 하락했고 200~300만 원 미만은 전기 대비 6.9%p 상승하고, 100~200만 원 미만은 8.8%p 하락했다.
'외국인' 총소득의 지출 비중은 생활비(39.4%), 국내외 송금(23.2%), 저축(15.7%), 주거비(11.8%) 순이었고 국내외 송금 비중은 전기 대비 1.2%p 상승하고, 주거비는 1.9%p 하락했다.
▷ '외국인' 총소득 대비 지출부문별 구성비 ◁
생활비 | 주거비 | 국내외송금 | 저 축 | ||
기 타 | |||||
21년 5월 | 41.0% | 13.7% | 22.0% | 14.7% | 8.6% |
23년 5월 | 39.4% | 11.8% | 23.2% | 15.7% | 9.9% |
'귀화허가자' 총소득의 부문별 지출 비중은 생활비(51.8%), 저축(20.5%), 주거비(10.6%), 국내외 송금(5.1%) 순이었고 저축 비중은 전기 대비 1.3%p 상승하고, 생활비는 1.3%p 하락했다.
▷ '귀화허가자' 총소득 대비 지출부문별 구성비 ◁
생활비 | 주거비 | 국내외송금 | 저 축 | ||
기 타 | |||||
21년 5월 | 53.1% | 11.5% | 5.3% | 19.2% | 11.0% |
23년 5월 | 51.8% | 10.6% | 5.1% | 20.5% | 12.0% |
'귀화허가자'의 경우 '외국인'에 비해 국내 거주 위해 저축을 늘리고 생활비 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.